•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상담전화

031-913-9697

업무시간:
평일 오전 9:00 ~ 오후 6:00

FAX 031-913-9698

무료상담신청

- -
  

[자세히보기]

보건의료노동자 직장폭력 경험은 폭언(41%), 폭행(5.5%), 성폭력(1.1%)

보건의료노동자 직장폭력 경험은 폭언(41%), 폭행(5.5%), 성폭력(1.1%)
- 보건의료노조, 2016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 결과

 

- 직장폭력 가해자는 환자, 보호자, 의사 순으로 많아 
- 수면상태 평가 38.3점(100점 만점).....수면장애 심각한 수준
- 솔직한 감정 숨기고 일해(90.5%) ... 극심한 감정노동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들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고 있는 병원노동자들이 폭언·폭행·성희롱에 노촐되어 고통을 받고 있다. 감정노동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함께 교대근무로 인한 생체리듬 파괴는 숙면을 방해하고, 이로 인한 업무 집중도 저하는 의료사고의 위험을 높이며 노동자들의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건의료노조(위원장 유지현)는 지난 3월~4월 두 달간 [2016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를 벌였다. 이 조사에는 전국 110개 병원에 근무하는 2만 950명의 병원노동자들이 참가했다. 

2016년 보건의료노동자 실태조사 결과 응답자의 절반 가량(47.6%)이 직장 내에서 불쾌한 언행(폭언 41.0%, 폭행 5.5%, 성폭력 1.1%)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해자로는 환자가 압도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폭언 70.1%, 폭행 83.7%, 성폭력 70.0%), 보호자에 의한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폭언 65.6%, 폭행 21.6%, 성폭력 12.9%)
또한, 폭언의 경우에는 의사(36.5%)나 상급자(29.1%)에 의한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응답자 폭언·폭행·성폭력 경험에 대한 질문문항에 중복 표시함) 

감정노동에 노출된 당사자들은 불쾌한 언행에 대해 대부분 참고 넘기는 경우(폭언 89.7%, 폭행 58.6%, 성폭력 60.5%)가 많았다.(폭언 22.4%, 폭행 37.6%, 성폭력 25.3%) 하지만, 법적·제도적 대응을 하는 경우는 지극히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노조 조사결과에 따르면 자신의 기분과 관계없이 즐거운 표정을 지어야 한다는 응답이 86.2%, 솔직한 감정을 숨기고 일해야 한다는 응답이 90.5%에 육박하는 등 감정노동 수행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병원 내에서 불쾌한 언행을 경험한 후 직장에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교육을 받은 비율은 폭언·폭행의 경우 39.7%에 불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게 하거나 가해자와 분리시키는 경우는 각각 10.3%, 13.1%에 머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 수행 비율과 소진의 정도를 실재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자신의 기분과 관계없이 즐거운 표정을 지어야 한다는 응답이 86.2%, 솔직한 감정을 숨기고 일해야 한다는 응답이 90.5%에 이르는 등 감정노동 수행 비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보건의료 종사자 또한 극심한 감정노동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보건의료노동자들이 잠드는 데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53.2 분으로 나타났고,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사람이 잠드는 데 소요되는 시간(5~20분)을 고려하면, 잠드는 데 걸리는 시간이 2~3배 이상으로 나타나, 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장애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간호사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이 잠드는 데 소요되는 평균 시간은 60.4분으로 간호사 이외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의 39.8분에 비해 20.6분 정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처럼 잠드는 데 소요되는 평균 시간이 더 긴 것은 간호사 직종의 경우 3교대제에 따른 수면시간의 불규칙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숙면도 조사에 따르면, 지난 1주간 잠깨는 회수는 1~2회가 62.1%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3~4회도 22.5%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주간 다시 잠들지 못하는 회수도 1-2회가 32.5%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3-4회가 24.8%, 5회 이상도 12.3%에 이르고 있다. 특히, 간호사 직종의 잠깨는 횟수를 보면 3-4회의 경우 25.2%로 그 외 직종 종사자의 17.6%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1주간 다시 잠 못드는 횟수도 5회 이상의 경우가 14%로 그 외 직종의 9.2%보다 더 높게 나타나 심각한 수준이다. 

보건의료노조 조합원들의 본인에 대한 수면상태 평가는 100점 만점에 평균 38.3점으로 심각한 수준이다. 수면의 질이 좋다는 평가보다는 수면의 질이 나쁘다는 평가가 상대적으로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다. 야간 교대 근무는 2급 발암물질로 규정될 정도로, 일정기간 일을 하는 야간교대근무자는 특수건강검진 대상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이다. 

업무상 재해나 질병으로는 수면장애가 27.8%(5,831명)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근골격계 질환은 25.1%(5,248명), 타박상 및 골절 9.7%(2.025명), 결핵 등 감염 2.3%(484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밖에도 우울증 1.5%(317명), 심혈관 질환 1.2%(260명)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암의 경우도 응답자의 0.4%인 84명으로 집계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업무상 재해나 질병에 대한 병원의 조치 및 보상 절차 및 내용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경우는 33.1%에 불과했다. 

극심한 감정노동(폭언, 폭행, 성희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질 낮은 수면으로 인한 만성 피로는 업무집중도를 떨어뜨리고, 이로 인한 업무상 재해의 발생은 환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조속한 대책이 요구된다.

 

발행처 : 보건의료노조

0

추천하기

0

반대하기

첨부파일 다운로드

등록자관리자

등록일2016-07-13

조회수2,148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 밴드 공유
  • Google+ 공유
  • 인쇄하기
 
스팸방지코드 :

직장인 일주일 평균 2.3회 “야근 한다!”

직장인 일주일 평균 2.3회 “야근 한다!”- 대기업, 연구개발직 직장인 “야근 자주해!” 직장인들은 일주일의 절반 정도인 주 2.3회 야근을 한다고 답했다. 상대적으로 야근이 잦은 회사는 ‘대기업’, 야근이 잦은 직무는 ‘연구개발직’과 ‘해외영업직’, ‘디자인직’ 직무로 집계됐다. 반면 ‘외국계기업’, ‘판매서비스직’과 ‘고객상담/TM’ 직무는 상대적으로 야근..

Date 2016.08.04  by 관리자

법인 체납 건강보험료 끝까지 징수... 과점주주 등에게 부과

법인 체납 건강보험료 끝까지 징수... 과점주주 등에게 부과- 8월 4일부터 무한책임사원·과점주주·사업양수인에게 제2차 납부의무 생겨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은 체납 건강보험료를 법인의 재산으로 충당할 수 없는 경우, 법인의 과점주주 등에게 제2차 납부의무를 부과하는 제도가 오는 8월 4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지금까지는 법인 사업장이 건강보험료를 체..

Date 2016.08.04  by 관리자

고용서비스 우수기관 인증 신청 접수

고용서비스 우수기관 인증 신청 접수- 전국 유·무료 직업소개소 및 직업정보제공업체 대상 고용노동부(장관 이기권)와 한국고용정보원(원장 유길상)은 8월31일(수)까지 전국 유·무료 직업소개소와 직업정보 제공업체를 대상으로 ‘2016년도 고용서비스 우수기관 인증’ 신청을 받는다. ‘고용서비스 우수기관 인증제’는 취업지원 등 질 높은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Date 2016.08.04  by 관리자

50인 미만 도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도 근로자 안전·보건교..

50인 미만 도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도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8월 18일 시행, 미준수시 과태료 부과 그 동안 5인 이상 50인 미만 도매업과 숙박 및 음식점업의 경우 근로자 안전·보건교육 실시 의무가 없었으나, 8월 18일 부터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주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미준수시 500만원 이하(교육대상 근로자 1명당 3~15만원) 과태료..

Date 2016.08.03  by 관리자

중앙행심위 “개인 사업자→법인으로 바뀌어도 산재보험관..

조직의 포괄적인 양도·양수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업의 동질성을 유지한 채 새로운 경영자가 사업을 승계하여 경영을 계속한 경우 종전 사업장의 보험관계가 새로운 사업장에 승계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결정이 나왔다.국민권익위원회(위원장 성영훈) 소속 중앙행정심판위원회(이하 중앙행심위)는 사업의 동질성을 유지한 채 사업주가 편의를 위해서 개인에서 법인으로 전..

Date 2016.08.03  by 관리자

중소기업 연봉킹 직무는 'IT&연구개발'

중소기업 연봉킹 직무는 `IT&연구개발`- 직종별 평균연봉, 연구개발/설계(평균 4,198만원) 가장 높아! 중소기업에서 연봉이 가장 높은 직무는 ‘연구개발/설계’와 ‘IT인터넷’, 직원이 가장 오래 일하는 직무는 ‘생산제조’인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자사사이트에 등록된 연봉통계서비스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밝혀졌다. 잡코리아 연봉통계 서비스는 ..

Date 2016.08.03  by 관리자

좋은 직장의 조건 1위 '야근 없는 회사'

대학생과 직장인이 선정한 좋은 직장의 조건 1위에 ‘근무시간 보장’이 선정됐다. 2014년 동일 조사에서 1위를 차지한 ‘우수한 복지제도’는 올해 3위에 그쳤다.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최근 대학생과 직장인 1,057명을 대상으로 ‘좋은 직장의 조건’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가 선정한 좋은 직장의 조건 1위에(*복수응답) ‘근무시간 보장(28.4%)’이 선..

Date 2016.08.03  by 관리자

산재보험 부정수급 신고자 최대 3천만 원까지 포상금 지급

산재보험 부정수급 방지를 위한 공단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부정수급은 브로커 등 다수인이 조직적으로 개입된 보험사기가 적발되는 등 점점 조직적으로 은밀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경기침체를 틈 타 브로커 등 제3자가 개입하여 요양급여나 장해등급을 높여주겠다며 보험사기를 부추길 가능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근로복지공단(이사장 이재갑)은 산재보험 부정수급..

Date 2016.08.03  by 관리자

근로자 건강증진 우수사업장 선정·발표

근로자 건강증진 우수사업장 선정·발표- 감정노동자 건강보호, 협력·하청업체 건강프로그램 지원 돋보여 고용노동부와 안전보건공단은 LG이노텍 파주공장(반도체 제조업) 등 6개 사업장을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우수 사업장’으로 선정하고 발표하였다. 건강증진 우수사업장은 올해 상반기 동안 11개 사업장의 신청을 받아 현장방문 평가와 노·사·정 전문가들의 심사..

Date 2016.08.03  by 관리자

기업들 “지금 수익원은 사양화 단계”

기업들 “지금 수익원은 사양화 단계”- 대한상의, 저성장시대에 대한 기업인식과 대응전략 조사 대한상공회의소(71개 지역상의 공동)가 국내 2천4백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저성장시대에 대한 인식과 대응전략 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절반가량(49.9%)은 “지금 수익원은 사양화 단계”라고 입을 모았다. 이어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처하지 않으..

Date 2016.08.03  by 관리자

고용부, 화학물질 취급 취약사업장 불시감독 실시

고용부, 화학물질 취급 취약사업장 불시감독 실시- 6가크롬 등 특별관리대상물질 취급 사업장 중점 감독 고용노동부는 6가크롬, 니켈 등 고독성 화학물질 취급 취약사업장 근로자의 건강보호를 위해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감독을 실시하며, 특히 유해화학물질 취급 취약사업장에 대하여는 ‘보호구 지급·착용 실태’ 등에 대한 집중감독을 실시할 예정이다.전국의 화학..

Date 2016.08.03  by 관리자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통합연금포털’조회서비스 개시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통합연금포털’조회서비스 개시- 20여만 명 가입자, 모든 연금정보를 한 곳에서 확인 근로복지공단(이사장 이재갑)은 8월 1일부터 공단에서 운영 중인 퇴직연금 정보를 통합연금포털(http://100lifeplan.fss.or.kr)에서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공단 퇴직연금에 가입한 20여만 명은 퇴직연금 외에 본인이 가입한 국민·개인연..

Date 2016.08.03  by 관리자